1. 데이터를 먼저 보지 마라. 데이터 안에는 답이 없다
그래프를 보고 우리가 해석해야하는 것은
"이 그래프를 통해 무엇을 알 수 있나요?" 가 아니라
"이 그래프를 작성한 사람은 (그래프 작성 전에)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걸까요?"
단순히 그래프를 보고 해석하는 것을 떠나 무엇을 그래프의 목적을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2. 데이터를 분석할때 목적, 목표를 명확히 하라
당신이 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이를 알게되면 무엇을 하고 싶은지
이를 위해서 어떤 데이터(지표)가 필요한지
위 3가지를 분명히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1. 목적과 문제
2. 목적과 문제에 따라 데이터 수집 맟 방법론 구축
3. 목적과 문제에 대한 결론
# 데이터 활용 프로세스
1. 목적과 문제 정의 2. 현상 파악/평가 3. 요인 4. 방법 겉으로 드러난 현상 현재 상태를 파악 요인을 분석 해결 방안을 모색 목적 및 문제 정의 평가 지표 결정
2.1 목적과 문제정의 (목적 사고력)
목적과 맞게 문제와 데이터를 연결하기
데이터 활용에 실패하는 이유 2가지
1. 풀고자하는 문제가 명확하지 X
2. 정의한 문제와 사용하는 데이터가 일치하지 X
1. 현상을 파악하기 전에 우리는 분석하고자하는 목적을 알아야함
- 나는 무엇을 알고 싶은가?
- 나는 무엇을 해결하고자 하는가?
point 1. 사용되는 언어가 구체적이고 명확해야한다.
i.e. 무엇이 문제이고 구체적으로 얻에 사는 누가 어떤 식으로 곤란에 처해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명확하게
e.g. 저출산 고령화 문제(더 구체화 가능), 서비스업 인력 부족에 따른 주민 생활 불편, 인구감소(이것도 가능), 수입감소(매출액, 이익, 수익, 매출액 대비 수익률? 구체적으로 설정해야한다) 정답은 없음!
point2. '문제', '원인', '해결방안'을 구분해야한다. (삼자관계 정립)
'문제'가 무엇인가? 그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은 무엇인가? 그 원인에 대한 '해결 방안'은 무엇인가?
e.g. 제조업종 관련 인재 확보가 어렵다(현상): 단순히 제조업종 인재 수 감소 추이 그래프--> 제조업종 관련 채용 정보를 많이 올리고 있는데 그 수요를 충족시킬 인재가 충분하지 않아서 기회 손실이 막대하다(문제+원인) : 자사 인재풀에서 다른 업종 대비 제조업종 대조 가능 그래프
e.g. 인재 부족으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영업 활동을 못 하고 있다. 작업 효율화를 높여 구조 조정을 하고 싶다. -->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못해서 어떻게 되었는데? 구체화가 필요 예를 들어 수주 수가 급감했다와 같은 단어가 필요함. 여기서 '원인'은 (가정1)효과적인 영업활동의 부재/ 고객 상담 및 대응의 부실 '문제'는 수주 수 급감 '해결방안'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영업활동
작업 효율화를 높여 구조 조정을 하고 싶다.: 이 부분은 문제를 정의하고 있는 시점에서 결론을 내버린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 다만, 원인을 자신의 주관을 반영한 가정 X
2. 정의한 문제와 사용하는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음 (지표 결정)
- 현재 상황(직면한 상황)에서 어떻게 데이터로 나타낼 것인가?
- 짐작이나 추측X 논리적 설명을 통해 이용할 지표를 결정해야함. e.g. 학생 식당의 질을 평가하겠다! --> 가격, 입지조건 등
- 지표를 무조건 하나로 정할 필요는 X e.g. 음식의 질: 메뉴의 종류와 숫자, 계절이나 요일별로 메뉴가 얼마나 많이 변경되는지 빈도, 등...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문해력(1)_소개 (0) | 2023.10.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