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분포 2

꼭 알아야할 수학(5)_확률

#4 최대 우도 추정 MLP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 간단하게 말해 사건을 보고 확률을 추론하는 방법 (조건부 확률값이지만, 확률 분포는 아님. why? 확률의 합이 1이 아니기 때문) 아래의 예시에서 검은 공이 나올 최대의 확률을 구하는 것이 목표가 됨.! (검은 공이 A주머니에서 나왔을까 B에서 나왔을까? 어떤 주머니에서 골랐을지 그 확률을 구하는것) (vs. 조건부확률의 경우, A라는 상자를 골랐을떄 검은 공이 나올 확률을 구하는 것) 예시>> x 사건을 구해야한다고 할때 Z1, Z2 라는 예측 분포가 주어진다면 1) x+n1 = Z1 (n~N(0,표준편차)) 2) x+n2 =Z2 Z1과 Z2를 독립이라고 가정하고 x를 예측해보자, 정규분포(가우시안 분포)를 따른..

꼭 알아야할 수학(4)_확률

본 포스팅은 혁펜하임 [AI를 위한 수학] 딥린이를 위한 필수 수학 패키지를 참고하였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rkVgBvp850 #1 랜덤 변수와 확률 분포 * 확률 함수란? 입력: 사건 --> 출력: 확률 즉, 확률 함수로 랜덤 변수의 확률 분포를 나타냄. [확률 분포의 종류] 1. 확률 질량 함수 (Probability Mass Function): class O (ex. 동전의 확률, 주사위 확률) 예시>> - 동전: p(x=0)=1/2 - 주사위: p(x=5)=1/6 따라서, 0과 1사이의 값을 갖는 양수이며, 합이 1이 된다. 2. 확률 밀도 함수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class X (ex. 평균 한국 남자의 키) 예시..